0210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817
[2월10일] 알트먼은 어떻게 머스크를 따돌리고 트럼프와 '스타게이트'를 발표했나 - AI타임스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해 주목받았습니다.미국 정부는 여기에 1
www.aitimes.com
- OpenAI CEO인 샘 올트먼은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함께 데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
- 미국 정부는 1달러도 투자하지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첫번째 공식 발표행사 였다는 점
-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 정부의 실세인데, 이를 저지하지 못했던 이유는?
- 올트먼 CEO는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동영상 생성 AI인 '소라'로 눈길을 사로잡고,
데이터 센터의 구축이 필수인 점을 어필함 - 동시에 OpenAI는 MS로 부터 Oracle과 협력해 텍사스에 데이터 센터를 설립해도 된다는 허락을 받음
- + 이를 스타게이트로 키우기 위해 소프트뱅크 회장인 손정의를 만남
- 이 모든걸 머스크 몰래 진행함
0212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903
[2월12일] 머스크 오픈AI 인수 제안은 고도의 전략...'비영리 부분 몸값 올리기' - AI타임스
일론 머스크 CEO가 11일 오픈AI를 947억달러(약 137조원)에 사겠다고 나서자, 의문의 시선을 몰렸습니다. 오픈AI가 받아들일 리 없는 제안을 왜 내놓았던 걸까요.이에 대한 분석이 등장했습니다. 결
www.aitimes.com
- 일론 머스크 CEO가 OpenAI를 947억 달러에 사겠다고 함 (OpenAI는 당연히 제안을 받지 않았지만)
- OpenAI의 영리 기업 전환을 지연시키려는 고도로 계산된 행위하는 분석
- CEO 일론머스크는 OpenAI를 상대로 영리기업 전환을 막는 가처분 소송을 진행중
- 이유는 오픈AI가 설립 당시 소명을 망각하고 영리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자신과의 약속을 어기는 것이며, 이 경우 손해배상을 신청할 것이라고 밝힘
- 현재 OpenAI는 비영리 재단에서 영리기업 전환을 시도 중인데,
이 과정에서 캘리포니아 법에 따르면 기존 비영리 부분이 회사에 기여한 부분을 인정, 영리기업으로 전환하더라도 일부 지분을 넘겨줘야 함 (중요한 것은 비영리 부분의 기여도, 즉 ChatGPT의 IP 가치를 계산하는것이다)
- 따라서 이번 인수 제안은 실제로 오픈AI를 사겠다는 것이 아니라, 비영리 부분의 가치를 높여 오픈AI의 영리기업 전환을 곤란하게 만들려는 고도의 전략
- 머스크 CEO의 복수?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850
오픈AI, 올해 첫번째 맞춤형 칩 설계 완료 예정...이르면 내년부터 생산 - AI타임스
오픈AI가 이르면 내년부터 자체 인공지능(AI) 칩 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게이트\'를 통해 데이터센터를 대규모로 구축한다고 밝힌 상황에서, 엔비디아의 칩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
www.aitimes.com
- OpenAI의 자체 인공지능 칩 생산
- '스타게이트'를 통해 데이터 센터를 대규모로 구축한다고 밝힌 상황에서, 엔비디아의 칩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함 (현재 AI 데이터센터 칩 시장에서 엔비디아는 80%가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구글이나 아마존처럼 대규모의 AI칩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곳은 엔지니어가 수백명에 달하고, 새로운 칩하나를 설계하기 위해서 5억달러 정도가 드는 것으로 추산.
-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오픈AI는 물론, 구글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등은 일찌감치 자체 칩을 개발해옴
- 이를 통해 생산된 OpenAI의 칩은 '스타게이트'를 통해 앞으로 건설할 대규모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것으로 보임.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MQTT (0) | 2025.03.03 |
---|---|
[Trend] Deepseek의 영향 (1) | 2025.02.14 |
[Trend] DeepSeek의 R1 (2) | 2025.02.07 |
[스킬업] Docker 기반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3주차 (0) | 2024.12.22 |
[스킬업] Docker 기반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4주차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