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29 [Python] 로컬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 정리 OS 라이브러리 명령어 파일명 분리import osimg_path= 'path/to/the/img.jpg'result1= os.path.basename(img_path)print(result1)# >> 'img.jpg'> basename은 경로를 제외한 파일명을 반환한다. 파일 확장자 분리result2= os.path.splitext(img_path)print(result2)# >> ['path/to/the/img', '.jpg']> splitext는 모든 경로와 확장자를 분리함.반환값의 0번 인덱스는 파일확장자가 없는 경로이고,반환값의 1번 인덱스는 '.'을 포함한 확장자 이다. result3= img_path.stemprint(result3)# >> Error"""Traceback (mo.. 2025. 7. 5. [네트워크] 웹소캣 방식 VS 쓰레드 방식 웹소캣 방식과 스레드 방식 일단 두 방식은 비교대조군이 되지 못한다.웹소캣 방식은 통신 과정에서의 방식이고, 스레드 방식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방식이다. 웹소캣(WebSocket) 방식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된 상태로 계속 유지(실시간)되게 해주면서, 서로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방식.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을 주는 구조가 HTTP 방식이다. 이와 달리, 실시간 방식은 매번 요청을 보내지 않고도 데이터를 계속해서 받을 수 있다. 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웹소캣이다. 🌐 HTTP: "나한테 메시지 왔어?" → "아니 없어." (단방향)⚡ WebSocket: (연결 유지) → 서버가 바로 "메시지 왔어!" 하고 푸시해줌. (양방.. 2025. 6. 1. [Python] .whl 파일 파이썬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whl 확장자를 자주 혹은 종종 보게 된다. whl(wheel)파일 wheel [휠] 파일은 Python 패키지 배포 시스템의 일환으로, python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배포용 파일이다.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배포시에 해당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패키지 및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도록 돕는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설치용 파일로 보통 wheel파일(.whl)과 source archive파일(.tar)이 있으나, 윈도우 환경에서는 source 파일보다는 wheel파일을 선호한다. (그럼 반대로 말하면 리눅스 환경에서는 source파일을 선호한다는 건가?) wheel파일은 우리가 흔히 pip install [라이브러리 이름] 의 명령어를 작성할 때, 사용된다.pip 명령어를 이용하.. 2025. 6. 1. [네트워크] OSI 7계층 OSI 7계층 이란? :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모델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가 직접 다루는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와 가장 가까움 ex) HTTP, HTTPS, FTP 등 (웹 브라우저, 메신저)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변환, 암호화 ex) JPEG, SSL (암호화, 인코딩)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통신 연결 유지 ex) 로그인 세션, 채팅 연결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신뢰성 있는 전송 ex) TCP, UDP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IP 주소로 목적지 설정 ex) IP주.. 2025. 5. 6. [네트워크] Protocol (TCP와 UDP) Protocol 프로토콜 이란? 통신을 위해 두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서로 약속해놓은 규칙 체제.데이터의 형식이나 데이터 처리 방식, 동기화 방식 등을 정의하여 기기간의 데이터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과 "응용 계층 프로토콜" 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 종류 전송제어 프로토콜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를 빠뜨리지 않고 하나씩 순서대로 전송한다.HTTP/HTTPS, SSH 등이 이 방법을 사용한다.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 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를 실시간 성으로 순서상관없이 빠르게 전송한다.실시간 스트리밍, 화상통화,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된다.항목TC.. 2025. 5. 6. [네트워크] IP주소와 Port, 그리고 포트포워딩 IP 주소 IP란? 우리가 흔히 웹주소로써, naver.com , tistory.com, youtube.com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한다.근데 이는 사람이 구분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만든 웹주소 일 뿐이다.이를 우리가 인코딩하듯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주소로 변환한 것이 IP주소 이다.IP주소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42.250.206.78 (구글의 실제 공인IP)처럼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이다. 이렇게 변환하는 과정을 DNS가 자동으로 변환해준다.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ex. 전화번호부) 공인IP vs 사설IP 외부에서 누구나 접속할 수 있도록 부여된 IP주소를 "공인IP" 라고 하고,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다.. 2025. 5. 5. [DeepLearning] 모델 변환과 FP32-FP16-INT8 📄 TensorRT 모델 변환 및 성능 비교 과정1. ONNX → TensorRT 엔진 변환TensorRT는 ONNX 모델을 최적화하고 GPU 하드웨어에 맞게 변환하는 고성능 추론 엔진입니다. onnx2trt와 trtexec는 TensorRT 엔진으로 모델을 변환하는 도구입니다.onnx2trt용도: ONNX 모델을 TensorRT 엔진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CLI 도구장점: 간단하고 빠르게 변환할 수 있음사용법:FP32로 변환: onnx2trt yolov11.onnx -o yolov11_fp32.engine FP16으로 변환:onnx2trt yolov11.onnx -o yolov11_fp16.engine --fp16INT8으로 변환 (calibration 포함):onnx2trt yolov11.onnx -.. 2025. 5. 3. [DeepLearning] TensorRT 2025.04.13 - [기타] - [컴퓨팅] CUDA / CUDA Toolkit 과 cuDNN [컴퓨팅] CUDA / CUDA Toolkit 과 cuDNNCUDA 란?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의 준말로,NVIDIA에서 개발한 병렬 컴퓨팅 플랫폼 및 프로그래밍 모델이다.쉽게 말하면, 엔비디아의 GPU 개발 툴이다.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수행하는 (병data-yun.tistory.com 이전 포스팅을 보면 NVIDIA toolkit을 다운받고 이안에 NVIDIA SDK가 담겨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TensorRT TensorRT는 NVIDIA에서 개발한 딥러닝 추론 최적화 엔진이다.기존 딥러닝 프레임워크 (pytorch, tensorflow 등.. 2025. 5. 3. [Python] 디렉토리 재귀 탐색 o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윈도우 파일탐색기처럼폴더나 파일을 탐색하고 가져오고, 정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폴더/파일 리스트 os.listdir(path) : 특정 경로 내에 존재하는 폴더(디렉토리)와 파일 리스트를 검색import osfile_list= os.listdir('/test/path/')print(file_list)>> ['file1', 'file2', 'folder1', 'folder2']특정 경로에 있는 폴더 및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반환 모든 하위 폴더/파일 리스트 os.walk(path)여러 폴더를 순환하면서 해당 폴더 하위의 하위의 하위...재귀방식을 이용하여 모든 하위 디렉토리 구조를 다 검색한다.import osfile_list= os.walk('/test/path/')p.. 2025. 4. 17. 이전 1 2 3 4 5 ··· 1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