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10

[Ubuntu] 파일 검색 및 압축 파일 검색findfind 명령어는 현재 경로의 모든 폴더와 파일을 나타낸다.   find -maxdepth 1maxdepth 옵션을 1로 주면, 깊이 1의 find명령어를 실행한다.위 폴더 기준으로 깊이 1의 객체로는 korea 폴더 뿐이다.옵션만 수정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find -type ftype 옵션은 특정 형식의 객체를 찾는다.f는 파일을 의미하므로 위 경로내에서의 파일은 txt 파일 3개가 된다.type옵션으로 d의 경우 directory를 의미하므로 경로내의 폴더를 찾게 된다.    find -name "file*"name 옵션은 이름의 특정 키워드를 기준으로 검색한다.    find /etcfind명령어의 기본 input으로는 경로를 받는데, input이 없을.. 2024. 9. 24.
[Ubuntu] Text Editor nano 편집기 nano 편집기는 실행파일의 내용을 편집하는 텍스트 에디터이다. nano혹은vi명령어를 이용해 텍스트에디터로 사용할 수 있다. nano의 경우는 Ctrl +Xvi는 :q + Enter를 통해 편집기를 빠져나올 수 있다. nano file.txt를 통해 file.txt파일을 터미널 창에서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보통 실행파일에서 수정사항을 변경하는데, home이 있는 디렉토리에 여러 기존 실행 파일들을 수정하여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참고: 2024.09.23 - [기타] - [Ubuntu] 리눅스 디렉토리 관리)  nano 편집기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도움말이 하단에 뜨게 된다. ^ 기호는 Ctrl을 의미하고, M- 기호는 Alt를 의미한다.   Write Out : 덮어.. 2024. 9. 24.
[Ubuntu] 리눅스 디렉토리 관리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 : root 디렉토리 /bin : 리눅스의 command binary - 명령어에 대한 파일을 가짐/etc : 리눅스 설정을 위한 파일을 가짐/home : 초기에 생성하는 user 계정이 이 home 디렉토리 하위에 위치하게 된다.    각 계정 폴더 안에는 Desktop, Documents, Music 등 default 구성이 만들어진다. /opt :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토리/tmp :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usr :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실행파일과 라이브러리를 가짐/var : 시스템 운용중에 발생하는 로그파일을 가짐   pwd : 현재 경로 표시ls : 현재 경로의 디렉토리 리스트cd : 디렉토리 변경 (상대/절대 경로 모두 ok), 그냥 cd만 입력시 기존 초.. 2024. 9. 23.
[Ubuntu] 파이핑 명령어 파이핑 명령어는 기호로 | 를 사용한다.python과 연결짓자면 의미는 동일하다. 랭체인 시에도 사용했던 것 처럼a | b 에서 a의 결과 값을 b로 넘겨주는 체인 역할과 동일하다.   먼저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date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간이 출력되고, 이를 리디렉션을 통해 txt 파일로 저장해보면 txt 파일에 현재 시간이 저장된다.(참고)  2024.09.23 - [기타] - [Ubuntu] 리눅스 Standard Input/Output/Error 새로 보이는 cut 명령어는 파이썬에서의 split과 동일한 명령어 같다.-d (--delimiter) 옵션은 뭘 기준으로 split할 것인지, -f (--field) 옵션은 split중에 몇 번째 걸 가져올지 따라서 위 명령어에서는 날짜 텍스트.. 2024. 9. 23.
[Ubuntu] 리눅스 Standard Input/Output/Error catcat 명령어는 사용자가 입력한 것을 출력으로 뱉는 명령어(?) 내가 아는 cat은 붙여넣기 할때 사용하는 건데, 입력하는 텍스트를 그대로 뱉으니까 그것도 일종의 붙여넣기 일지도..그래서 hello를 치면 hello가 그대로 나오고, linux를 치면 linux 가 그대로 출력된다. (빠져나오려면 Ctrl + C)    Standard Output cat 1> output.txt>> hello>> linux>> ^C1 은 output을 의미한다.cat은 입력한 걸 출력하는 건데, 이를 standard output하되 output.txt에 하라.위와 같이 hello입력, linux 입력 후 끝내기 Ctrl+C를 입력하면hellolinux이 형식으로 output.txt에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4. 9. 23.
[Ubuntu] 리눅스 명령어 메뉴얼 아무리 잘 알아도 명령어는 까먹기 마련이다.명령어와 그 명령어의 옵션 등 docs를 보여주는 명령어 하나만 기억하자! 유사하게 python에서는 help 명령어가 있는데, 빅분기 실기 시험볼때 아무것도 찾아볼 수 없으니 꽤 유용하게 썼던 기억이 있다.man -k: 메뉴얼을 찾는 명령어이고, -k는 keyword로 search함을 의미-k 옵션 뒤에 내가 찾고자 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원하는 명령어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an -k calendercalender 키워드가 들어간 command 를 찾아준다.위 사진과 같이 calender가 들어간 cal 명령어와 ncal명령어가 뱉어진 걸 볼 수 있다. cal 명령어는2024.09.22 - [기타] - [Ubuntu] 리눅스 명령어 구조 [Ubun.. 2024. 9. 23.
[Ubuntu] 리눅스 명령어 구조 리눅스 명령어는 [명령어] [옵션] [input] 으로 구성하여 입력할 수 있다.명령어는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는 명령어가 정해져 있고,옵션은 말그대로 필요할 때만 사용하면 된다.input은 없어도 실행되는 명령어들도 있지만, 옵션에 따라 input이 바뀔 수도 있다.   echo $PATH>> /usr/local/sbin:/usr/local/bin:/usr/bin:/sbin:/bin:/usr/games: 명령어의 경로들 출력  which echo>> /usr/bin/echo: which 명령어는 위치를 알려준다→ echo 라는 명령어가 있는 파일의 위치를 출력  cal>> Command 'cal' not found, but can be installed with:>> sudo apt install nc.. 2024. 9. 22.
[Ubuntu] 기본 명령어 echo hello linux--- hello linux> 여기서 echo는 print를 의미한다.뒤 텍스트가 그대로 출력된다.   history--- (기존 입력했던 명령어들 출력)> history 명령어 입력시, 가장 마지막에 입력한 'history'를 포함한 이전 모든 입력 명령어를 출력해준다. 2024. 9. 22.
[Ubuntu] 화면 일그러짐 마우스 움직일 때마다 자꾸 귀신들린거 마냥 지직댄다..  방법 1) 일단 본인은 power off 하면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오긴한다. 다른 방법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보길,, (power off 했다가 켜도 그대로면 그때 따라해보기로..)결국.. restart해도 돌아오지 않는, 그냥 일시적인 정상상태 였다는 것을 깨달음.. ㅋㅎ   방법 2) 터미널 창에 sudo nano /etc/default/grub 입력password를 입력하고,GRUB_CMDLINE_LINUX_DEFAULT로 시작하는 구간을 찾아서다음과 같이 수정 →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i915.enable_dc=0 intel_idle.max_cstate=2"수정 후, [Ctrl+X] 를 눌.. 2024. 9. 22.
728x90
반응형